모든 인간은 완벽하게 불완전하다
사용할 일이 전혀 없는
지식을 왜 배우는 걸까?
이를테면 f(x+y)=f(x)+f(y)를 가르치면서도 왜, 인간이 인간을 사랑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가르치지 않는 것인가.
왕조의 쇠태와몰락을 줄줄이 외우게 하면서도
왜, 이별을 겪거나 극복한 개인에
대해선 언급을 하지 않는가.
-박민규의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중에서-
사실 교육은 인간다운 인간에
그 목표를 둬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교육은 ‘학력주의’, ‘발전교육론’의 지배 속에서
점점 더 ‘인간’의 형성보다는
‘인력’의 양성에치우쳐 왔습니다. 그로 인해 나타난 부작용을
해소하고자 ‘인간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줄곧
제기되어오고 있지만,
사회가 초경쟁사회로
나갈수록 ‘인성교육’, ‘인간교육’이 설 자리는 없어 보입니다.
“이 세상 만물은 창조자의 손에서
나올 때에는 선하나, 인간의 손에 와서 타락 한다”는 루소의 말에서 참다운 인간교육의 절실함을 세삼
절감하게 됩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사용할 일이 전혀 없는
지식을 왜 배우는 걸까?
이를테면 f(x+y)=f(x)+f(y)를 가르치면서도 왜, 인간이 인간을 사랑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가르치지 않는 것인가.
왕조의 쇠태와몰락을 줄줄이 외우게 하면서도
왜, 이별을 겪거나 극복한 개인에
대해선 언급을 하지 않는가.
-박민규의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중에서-
사실 교육은 인간다운 인간에
그 목표를 둬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교육은 ‘학력주의’, ‘발전교육론’의 지배 속에서
점점 더 ‘인간’의 형성보다는
‘인력’의 양성에치우쳐 왔습니다. 그로 인해 나타난 부작용을
해소하고자 ‘인간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줄곧
제기되어오고 있지만,
사회가 초경쟁사회로
나갈수록 ‘인성교육’, ‘인간교육’이 설 자리는 없어 보입니다.
“이 세상 만물은 창조자의 손에서
나올 때에는 선하나, 인간의 손에 와서 타락 한다”는 루소의 말에서 참다운 인간교육의 절실함을 세삼
절감하게 됩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리석은 자는 스스로 분노하여 언제나 원한을 가슴속에 품고 있지만 슬기로운 자는 모든 재앙의 근원이 되는 분노를 버릴줄 압니다. (0) | 2011.03.26 |
---|---|
행여나 ,, 행여나,,, 나의 이런 마음으로 인하여 당신의 마음이 다치지는 않을까, (0) | 2011.03.26 |
참된 친구" 이것이 너의 이름이다 이건 내가 지은 이름이지만 내가 지은 이름만은 아니다 너를 처음 볼 때 이 이름의 주인이 너라는 것을 나는 알았다 (0) | 2011.03.26 |
겁쟁이 세일즈맨의 자식들은 굶는다. -지그 지글러 (0) | 2011.03.26 |
숲으로 들어갈 때나는 반드시 몇 번 헛기침을 하고는 '숲의 정령들이여, 제가 들어갑니다. (0) | 2011.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