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언어에 의해서만 사람일 수 있다. -이안 슈타인타르(독일 언어학자) [언어의 기원]
사람은 우주에 존재하는 불량 소년이다. -오펜하임 [전쟁과 웃음]
사람은 이기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자기 보존을 위해 서로 침략하게 된다. 그럴 경우에는 오히려 이기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계약에 의해서 국가를 형성하여 주권자가 각자의 이기심을 제한시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홉스 [철학 체계-국가론]
사람은 인종이나 피부색에 의해서 우열이 가려지지 않는다. 마음과 두뇌에 의해서 우열이 가려진다. -로버트 G. 잉가솔(미국 법학자·정치가) [자유]
사람은 자유로운 존재다. 무슨 일을 하든 그것은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유롭다.… 모든 것은 사람의 내부에 존재하고 모든 것은 사람을 위해 존재한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오직 사람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사람의 손이나 뇌에 의해서 존재가 증명된다. 사람은 멋진 존재다. -막심 고리키
사람은 조물주가 만든 최고의 걸작이다. 하지만 그런 표현을 한 것은 바로 사람이다. -폴 가바르니(프랑스 화가·판화가) [격언집]
사람은 조물주의 유일한 실패작이다. -길버트
사람은 하나의 갈대에 지나지 않는다. 자연물 중에서 가장 약한 존재다. 하지만 사람은 생각하는 갈대다. -브라이스 파스칼(프랑스 수학자·물리학자·철학자)
사람의 가치는 타인과의 관련으로써만 측정될 수 있다. -니체
사람의 본성은 폴리스(polis, 정치적·사회적)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사람이란 자기의 운명을 지배하는 자유로운 자를 가르킨다. -칼 마르크스(독일 경제학자) [경제와 철학]
사람이 사람인 것은 사람과 사람의 결합에 있다. -기으르케
사람이야말로 울고 웃을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다. 곧, 사람이야말로 있는 그대로의 사실과 있어야 할 사실과의 격차에 마음을 움직이는 유일한 동물이다. -윌리엄 하즈리트(영국 비평가)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사람은 우주에 존재하는 불량 소년이다. -오펜하임 [전쟁과 웃음]
사람은 이기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자기 보존을 위해 서로 침략하게 된다. 그럴 경우에는 오히려 이기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계약에 의해서 국가를 형성하여 주권자가 각자의 이기심을 제한시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홉스 [철학 체계-국가론]
사람은 인종이나 피부색에 의해서 우열이 가려지지 않는다. 마음과 두뇌에 의해서 우열이 가려진다. -로버트 G. 잉가솔(미국 법학자·정치가) [자유]
사람은 자유로운 존재다. 무슨 일을 하든 그것은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유롭다.… 모든 것은 사람의 내부에 존재하고 모든 것은 사람을 위해 존재한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오직 사람뿐이고 나머지는 모두 사람의 손이나 뇌에 의해서 존재가 증명된다. 사람은 멋진 존재다. -막심 고리키
사람은 조물주가 만든 최고의 걸작이다. 하지만 그런 표현을 한 것은 바로 사람이다. -폴 가바르니(프랑스 화가·판화가) [격언집]
사람은 조물주의 유일한 실패작이다. -길버트
사람은 하나의 갈대에 지나지 않는다. 자연물 중에서 가장 약한 존재다. 하지만 사람은 생각하는 갈대다. -브라이스 파스칼(프랑스 수학자·물리학자·철학자)
사람의 가치는 타인과의 관련으로써만 측정될 수 있다. -니체
사람의 본성은 폴리스(polis, 정치적·사회적)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사람이란 자기의 운명을 지배하는 자유로운 자를 가르킨다. -칼 마르크스(독일 경제학자) [경제와 철학]
사람이 사람인 것은 사람과 사람의 결합에 있다. -기으르케
사람이야말로 울고 웃을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다. 곧, 사람이야말로 있는 그대로의 사실과 있어야 할 사실과의 격차에 마음을 움직이는 유일한 동물이다. -윌리엄 하즈리트(영국 비평가)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명은 우리의 행위의 절반을 지배하고, 다른 절반은 우리 자신에게 맡긴다. -마키아벨리 (0) | 2011.09.29 |
---|---|
이 시대가 원하는리더십의 핵심은 ‘개방’이다. (0) | 2011.09.29 |
노정호추천명언0823-1 (0) | 2011.09.23 |
노정호 오늘의 명언 (0) | 2011.09.23 |
조선멸망이 오늘날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참으로 많다... (0) | 2011.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