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노년층 상대 불법상행위 막자', 한국노년복지연합 기습 시위 개최

특판장닷컴 2014. 3. 13. 17:48

미끼 상품 등을 내걸고 노년층을 상대로 한 불법상술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시민단체가 감시단원들과 함께 거리에서 홍보전을 펼쳤다.

한국노년복지연합(이사장 김영일·이하 한노연)은 12일 경기도 고양시 마두동에서 노년층의 소비자 권익을 보장하고, 무분별한 유통업자의 강압적인 제품판매·위탁판매행위 근절을 위한 가두시위를 벌였다. 이 자리에는 불법 상행위의 경각심을 직접 일깨우기 위해 노년층에 해당하는 감시단원도 함께했다고 한노연은 전했다.

한노연은 이 같은 시위를 기획하게 된 배경으로 공짜 상품을 미끼로 노년층에게 접근한 뒤 고가의 상품을 판매하는 수법인 이른바 ‘떴다방’ 등과 같은 불법 상행위가 근절되지 않은 점을 꼽았다. 한노연은 홍보관에서 최고급 수의를 구매하면 장례식까지 함께 치러준다는 말에 속은 한 노년층 소비자가 나중에 중국산 저가 상품을 의심해 홍보관에 환불요청을 했지만 거부당하는 등의 피해 사례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보관은 ‘떴다방’의 일종으로 3개월 등 일정 주기로 옮겨 다니며 상품을 판매하는 곳을 말하는 데 사기성 상품 판매가 주로 이어져 비판의 대상이 돼 왔다.

한노연은 이에 일부 상인들이 홍보관·체험방을 개장해 과대·허위광고, 강매나 폭리 등 불법적인 판매행위 근절을 위해 모니터링 제도를 도입하고, 피해 개선을 위한 법적 근거 역시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노연은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대한노인회 지부, 경로당 등 3300여개 기관에 사기피해사례, 사기유형 등을 담은 동영상을 제작·배포하고 있다.

노정호 한노연 사무총장은 “어르신들의 무료함과 외로운 심리를 이용한 기망상술로 피해를 입는 사례가 많다”며 “실제로 사기 피해를 당하고도 피해사실을 알지 못하는 어르신들이 대부분이며 피해를 알고도 정 때문에 신고를 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다”고 말했다.

한노연은 ‘합리적 의심’, ‘꼼꼼한 확인’, ‘단호한 거절’, ‘충분한 상담’ 등 4가지를 기억해 상품 등을 구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