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뉴스/베스트사진
고령화 진전에 따라 치매 환자가 급속히 늘어나는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25일 치매 조기 진단과 치료를 권고
특판장닷컴
2011. 2. 27. 13:41
고령화 진전에 따라 치매 환자가 급속히 늘어나는 가운데 보건복지부가 25일 치매 조기 진단과 치료를 권고하고 나섰다.
복지부에 따르면 2011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 535만7천명 중 치매환자는 49만5천명으로 유병률이 8.9%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2030년께는 치매노인 수가 113만명, 2050년께는 213만명으로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복지부는 내다보고 있다.
이런 가파른 환자 수 증가세 속에 치매 관련 의료비 지출도 2002년 561억원에서지난해 6천211억원으로 7년 새 무려 11배로 늘었다.
통상 치매는 중증으로 진행할수록 의료비 및 부대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중증 환자의 경우 증상이 가벼울 때보다 9배나 큰 비용이 든다.
따라서 치매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덜 훼손하는 것은 물론, 사회경제적 부담도 줄이는 길이다.
또 치매를 일찍 발견해 치료할수록 증상의 심각도가 완화되고 독립적 생활능력 저하에 따른 요양시설 입소 위험도 현저히 감소한다.
그럼에도, 진단과 치료가 치매 진행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는 인식이 만연해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에 나서는 환자 비율은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지난 2009년 치매 추정환자는 44만5천명이지만, 이 가운데 진료에 응한 환자는 21만5천명으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이에 따라 정부는 60대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무료 치매 진단을 확대해 올해는 4만명에게 무료 진단검사 비용을 지원한다.
또 진단을 받고 보건소에 등록한 환자에게는 지속적인 치료를 위해 월 3만원의 치료비도 지원하고 있다.
진수희 복지부 장관은 "치매는 두려운 질병이고 가정과 사회에 큰 부담이 되는 만큼, 조기에 발견해 적절하게 관리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2011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 535만7천명 중 치매환자는 49만5천명으로 유병률이 8.9%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2030년께는 치매노인 수가 113만명, 2050년께는 213만명으로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복지부는 내다보고 있다.
이런 가파른 환자 수 증가세 속에 치매 관련 의료비 지출도 2002년 561억원에서지난해 6천211억원으로 7년 새 무려 11배로 늘었다.
통상 치매는 중증으로 진행할수록 의료비 및 부대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중증 환자의 경우 증상이 가벼울 때보다 9배나 큰 비용이 든다.
따라서 치매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덜 훼손하는 것은 물론, 사회경제적 부담도 줄이는 길이다.
또 치매를 일찍 발견해 치료할수록 증상의 심각도가 완화되고 독립적 생활능력 저하에 따른 요양시설 입소 위험도 현저히 감소한다.
그럼에도, 진단과 치료가 치매 진행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는 인식이 만연해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에 나서는 환자 비율은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지난 2009년 치매 추정환자는 44만5천명이지만, 이 가운데 진료에 응한 환자는 21만5천명으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이에 따라 정부는 60대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무료 치매 진단을 확대해 올해는 4만명에게 무료 진단검사 비용을 지원한다.
또 진단을 받고 보건소에 등록한 환자에게는 지속적인 치료를 위해 월 3만원의 치료비도 지원하고 있다.
진수희 복지부 장관은 "치매는 두려운 질병이고 가정과 사회에 큰 부담이 되는 만큼, 조기에 발견해 적절하게 관리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